5. 성주간의 전례와 의미


성주간의 전례와 의미


하느님께 바치는 의무적인 봉사 즉 예배를 뜻하는 전례는 성직자만의 것이 아니라 하느님의 백성인 우리 모두가 함께 드리는 것으로 우리 신자들이 전례의 주체다. 모든 전례의 중심인 그리스도 구원사업을 완성한 성주간 전례에 보다 적극적으로 참여하기 위해 그 내용과 의미를 알아본다. 성주간은 1년 중 가장 중요하고 거룩하게 지내야 하는 시기로 주님수난 성지주일부터 예수부활대축일 성야미사 전까지를 말한다.


성지(聖枝)는 예수께 대한 존경.수난에서의 승리 상징


부활 바로 전 주일인 주님수난 성지주일은 예수께서 십자가 수난 전에 예루살렘에 입성하신 것을 기념하는 날이다. 이날 전례는 주님의 예루살렘 입성 기념식으로 시작한다. 성지는 예수께 대한 존경과 십자가 수난으로부터의 승리를 상징하며 종려나무, 올리브나무를 길바닥에 깔았던 사건을 기념한다. 종려나무와 올리브나무가 희귀한 우리나라에서는 성지로 보통 측백나무를 이용한다. 사제는 붉은색 제의를 입고, 성당 밖에서 성지를 축복하고 신자들에게 나눠준 후 입당행렬을 하면서 호산나(구원하소서)를 외치는 그리스도 환영곡을 바친다. 이 행렬은 신자가 가장 많이 참여하는 미사 한 대에만 한다.



성월요일은 복음에서 예수 죽음을 예고하고, 성화요일에는 제자들의 배반을, 성수요일에는 예수님 당신이 어떻게 죽으실지 예고한다. 이 삼일동안에는 특별한 전례가 없다. 성삼일에는 예수께서 겪으신 사건을 역사적 순서에 따라 지낸다. 원래 성삼일은 예수님의 수난과 죽음을 묵상하는 성금요일, 무덤에 묻히심을 묵상하는 성토요일, 부활주일을 말하는 것이었으나 4세기부터 최후만찬예식을 시작함에 따라 성목요일도 성삼일에 포함하게 됐다.


 


성체성사를 제정한 성목요일


성목요일은 예수께서 제자들과 마지막 식사를 하면서 성체성사와 사제직을 설정함으로써 영원한 사랑의 계명을 약속하셨다는 데서 가장 큰 의미를 찾을 수 있다. 이날 오전에는 각 교구 주교좌 본당에서 주교와 사제단 공동집전으로 성유축성미사를 봉헌하며, 미사 중에 서품 때 했던 사제들의 서약갱신식과 성유축성식을 가진다. 저녁에는 주님 만찬 미사를 봉헌하는데 이 미사로 사순기간이 끝난다. 주님 만찬 미사는 예수께서 빵을 나누어주듯 내 몸을 모두 바치겠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예수의 첫미사로 생각하기 위해 미사 전에 중앙감실을 비운다.



강론 후에는 예수께서 애덕과 겸손을 가르치기 위해 직접 제자들의 발을 씻겨주신 것을 기념하는 발씻김 예식을 행한다. 미사가 끝나면 예수 수난에 대한 고통을 묵상하고 참회하기 위해 본제대를 벗기고, 십자가를 가린다. 이때 성체는 본감실에서 수난감실로 옮겨지며 신자들은 예수의 수난을 묵상하며 밤새 성체조배를 하게 된다



1년중 유일하게 미사가 없는 성금요일



성금요일은 단식과 금육으로 예수의 죽으심과 신비에 깊이 참여하는 날이다. 이날은 고해, 병자성사 외에 모든 성사가 금지되며, 1년 중 유일하게 미사가 없다. 단 돌아가신 시간으로 추정되는 오후 3시경부터 말씀의 전례, 십자가 경배, 영성체 등 세부분으로 이뤄지는 주님수난예식을 지낸다. 사목적 이유로 예식이 늦어지더라도 9시 이후에는 수난예식을 금하고 있으며, 성금요일 저녁부터 성토요일 오전까지는 아무런 전례 예식이 없다.



주님 죽으심과 무덤에 계심을 기억하는 성토요일



성토요일은 부활 전날로 예수 그리스도의 죽으심과 무덤에 계심을 기억하는 날이다. 제단은 여전히 벗겨진 채 미사는 없고, 성토요일과 부활주일 사이의 밤 동안 부활을 준비하기 위해 깨어 기다림을 의미하는 성대한 부활성야미사가 거행된다. 이 부활성야예식부터 부활시기가 시작되며 알렐루야를 부르게 된다.



예수부활대축일 성야미사는 빛의 예식 이후로 막이 오른다. 말씀의 전례에는 구약에서 7개 신약에서 1개의 독서를 하는 것이 원칙이나 사목적 필요상 생략할 수 있다. 그러나 율법서와 예언서에서 택한 3개의 독서와 출애굽기 14장과 그에 따른 화답송은 절대 생략할 수 없다. 부활에 관한 복음에 이어 세례수 축복과 세례식, 기존의 신자 세례서약갱신식 순으로 예식이 진행되며 성찬의 전례에서 절정을 이룬다.



구원의 사건들을 성사적으로 실현하는 성주간



성주간 동안 행하는 이 모든 전례는 단순히 과거의 기념이 아니고 예수께서 완성하신 구원의 사건들을 기억하며 성사적으로 실현하는 것을 의미한다. 즉 구세주의 신비가 성사를 통해 현존하는 것이다. 따라서 우리 신자들은 성주간 동안 보다 깊은 참회를 통해 주님의 부활맞이 준비를 해야한다.




성주간 전례와 의미



그리스도의 수난과 부활


예식통해 기념하고 재현



교회는 예수부활대축일 전 한주간을 성주간(聖週間)이라 하여 그리스도의 생애의 마지막 사건, 곧 그분의 수난과 부활을 성대한 예식을 통하여 기념하고 재현한다. 교회 전례상 이 주간은 가장 거룩하고 정점을 이루는 시기이다. 따라서 성주간에 대한 신자들의 이해를 돕고 모든 예식에 보다 능동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성주간 전례의 주요 내용과 의미 등을 살펴본다.



■주님수난 성지주일


성주간의 시작을 알리는 주님수난 성지주일은 예수 그리스도께서 파스카 신비를 완성하시려고 예루살렘에 입성하신 것을 기념하는 주일로, 임금이신 그리스도의 개선을 기념하면서도 다가올 수난을 선포하는 이중의 의미를 지닌다.


교회는 이날 성지(聖枝) 축복과 성지 행렬의 전례를 거행하는데, 이는 예수님께서 예루살렘에 입성하실 때 백성이 종려나무와 올리브 나뭇가지를 들고 예수님을 환영한 데서 비롯한다. 사제는 이날 붉은 색 제의를 입으며 수난 복음을 장엄하게 봉독한다. 이날 축복된 성지(聖枝)는 1년동안 잘 보관했다가 다음해에 태워서 재의수요일 예절에 사용된다.


성주간 월요일에는 예수님의 죽음을 예고하고(요한 12, 1~11), 화요일에는 제자들의 배반(요한 13, 21~33.36~38), 수요일에는 유다의 배반과 예수님께서 파스카 축제를 지내신 사건(마태 26, 14~25)을 기념하는 복음을 읽는다.



■ 성목요일


성목요일은 사순절의 끝날이며 동시에 예수님께서 성체성사와 성품성사를 제정하신 것을 기념한다.


이날 오전에는 각 교구 주교좌 성당에서 주교와 사제단 공동 집전으로 성유축성미사를 봉헌하며, 미사 중에는 주교와 사제들의 일치를 드러내는 사제들의 서약갱신과 성유축성식을 가진다.


저녁에는 주님만찬 저녁미사를 봉헌하는데 이는 예수님의 몸과 피를 성부께 바치시고 제자들에게 봉헌하라 명하신 최후의 만찬을 재현한다. 강론 후에는 예수님께서 사랑과 겸손, 희생 봉사를 가르치기 위해 직접 제자들의 발을 씻겨주신 것을 기념하는 발씻김 예식을 행한다. 미사가 끝나면 예수 수난에 대한 고통을 묵상하고 참회하기 위해 제대포를 벗기고, 십자가를 가린다. 이 때 성체는 본 감실에서 수난감실로 옮겨지며 신자들은 예수님의 수난을 묵상하며 밤새 성체조배를 하게된다.



■ 성금요일


성금요일은 십자가에 못박혀 돌아가신 예수님의 죽음을 묵상하고 그 신비에 깊이 참여하기 위해 단식과 금육으로 재를 지킨다. 이날은 고해성사와 병자성사 외에는 모든 성사가 금지되며, 1년 중 유일하게 미사가 없는 날이다. 단 돌아가신 오후 3시경 말씀의 전례, 십자가 경배, 영성체 등 세부분으로 이뤄지는 주님수난예식을 지내게 된다. 신자들은 십자가 경배예식을 통해 인간을 구원하시기 위해 가장 비참한 방법으로 돌아가신 예수님의 수난을 기억하고 죽음의 상징인 십자가를 희망의 상징으로 바꾸신 그리스도께 감사와 찬미를 드린다.



■ 성토요일.부활성야


성토요일은 그 성격상 부활성야 예식 전과 후로 구분된다. 부활성야 예식전까지는 본의미의 성토요일(Sabbatum Sanctum)로서 무덤에 묻히신 그리스도를 기억하는 날이다. 이날 제대는 비어있고 아무런 예식도 거행하지 않는다.


해가 진 후 부활성야 전례가 거행되는데 이 때부터 「알렐루야」를 노래하며 그리스도께서 죽음의 사슬을 끊으시고 승리자가 되신 참된 해방의 밤을 기념한다. 부활성야 전례는 빛의 예식, 말씀 전례, 세례예식, 성찬 전례의 4부로 나눠지는데 특히 성찬 전례는 십자가 제사의 기념제이자 영원한 생명을 미리 맛보게 하는 성사로서 부활의 정점을 이룬다.


성주간 동안 행하는 이 모든 전례는 예수님께서 완성하신 구원 사건들을 기념하며 바로 지금 이 자리에서 성사적으로 실현되고 있다. 따라서 신자들은 보다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전례 참례로 그리스도와 일치를 이루며, 영광스럽게 다가오는 부활을 기쁘게 맞이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성주간과 성주간 전례에 대해 알고 싶습니다.


  성주간은 특별히 예수님 수난을 기념하는 주간으로, 예수 부활 대축일 전 한 주간을 말합니다. 주님 수난 성지 주일부터 성토요일까지 지내는 성주간은 예수님 수난과 십자가 희생을 기념하고 묵상하는 시기로 1년 중 가장 거룩하게 지내는 주간입니다. 성주간과 전례에 대해 살펴봅니다 .


 ▶ 성주간의 유래와 명칭



 기록에 따르면 3세기쯤 부활 축일 전 금요일부터 부활 축일 아침까지 3일 동안을 성주간으로 지냈습니다. 그러다가 4세기에 와서 성목요일이 추가됐습니다. 지금과 같이 성주간을 일주일 동안 지내게 된 것은 5~6세기에 와서인데 이런 관습은 예루살렘에서부터 시작됐다고 합니다.



 중세기에서는 성주간을 ‘수난 주간’이라고도 불렀습니다. 또 파스카 주간이라고도 불렀는데 이는 예수님 수난이 부활과 관련되기 때문이었습니다.(오늘날에는 성주간의 성목요일 저녁 주님 만찬 미사 때부터 성주간의 끝인 성토요일까지와 여기에 부활 대축일을 포함해 ‘파스카 삼일’이라고 부릅니다.) 또 다른 지역들에서는 인류 구원의 위대한 사건(예수님의 십자가 희생과 부활)을 이 기간에 기념한다고 해서 ‘위대한 주간’ 또는 ‘구원의 주간’이라고도 불렀습니다.


 


▶ 성주간 전례



◇ 주님 수난 성지 주일: 예수님께서 수난하시기 전에 백성들의 환호 속에 예루살렘에 입성하신 사건을 기념하는 주일입니다. 이날 미사에서는 나뭇가지(성지)를 들고 입당하는 예식을 통해 예수님의 예루살렘 입성을 기념합니다. 또 수난 복음을 통해 예수님의 수난과 죽음을 묵상합니다. 이날 사용한 성지(聖枝)는 집으로 가져가서 십자고상에 꽂아둡니다. 십자가와 성지를 볼 때마다 예수님을 환호하면서 배반하는 우리 자신의 삶을 돌이켜 보고 끝까지 주님께 충실할 것을 다짐하는 것입니다. 이 성지는 이듬해 재의 수요일이 되기 전에 성당으로 가져오면, 태워 재로 만든 후 재의 수요일에 사용합니다.



 ◇ 성주간 월요일~성주간 수요일 : 이 3일 동안은 특별한 예절은 없습니다. 하지만 예수님의 죽음을 예고하고 제자들의 배반과 부인을 예언하는 내용의 복음 말씀들을 통해 예수님의 수난과 죽음이 임박했음을 알립니다.



 ◇ 성목요일 : 성목요일은 예수님께서 수난 전날 저녁에 제자들과 마지막 만찬을 하시며 성체성사를 세우신 것을 기념하는 날입니다. 또한 예수님께서 성품성사를 세우신 것을 기념하는 날이기도 하지요. 성 목요일 오전에는 각 교구마다 사제들이 모두 함께 하는 가운데 교구장 주교 주례로 성유 축성 미사를 봉헌합니다. 성유 축성 미사에서는 세례성사와 견진성사, 성품성사를 집전할 때에 사용하는 축성 성유와 병자성사를 집전할 때에 사용하는 병자 성유, 그리고 예비신자들에게 사용하는 예비신자 성유를 축성합니다. 그리고 이 미사 때에는 또한 사제들이 사제품을 받을 때 한 서약을 갱신합니다.



 재의 수요일에 시작한 사순시기는 성목요일 저녁 주님 만찬 미사 직전으로 끝이 납니다. 주님 만찬 미사부터는 성주간 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파스카 삼일이 시작됩니다.



 ◇ 주님 만찬 성목요일: 수난 전날 저녁 예수님께서 제자들과 최후 만찬을 드시면서 성체성사를 제정하신 것을 기념해 주님 만찬 미사를 거행합니다. 미사 중에는 대영광송을 바치면서 종을 친 후 부활 성야 때까지 종을 치지 않습니다. 예수님의 수난을 묵상하면서 귀를 즐겁게 하는 것을 멀리한다는 의미가 있다고 합니다. 또 예수님께서 제자들의 발을 씻어 주신 것을 기념해 발씻김 예식<사진>을 할 수 있습니다.



 주님 만찬 미사가 끝나면 성체를 수난감실로 옮기고 제대포를 모두 벗겨냅니다. 성당 제대 중앙의 십자가도 치우며 치울 수 없을 경우에는 천으로 가립니다. 미사 후 신자들은 수난감실에서 성체조배를 하면서 예수님의 수난을 묵상합니다.



 ◇ 주님 수난 성금요일: 이 날은 미사를 드리지 않고 주님 수난 예식을 거행합니다. 주님 수난 예식은 주님 수난에 관련되는 독서와 복음을 듣고 묵상하는 말씀 전례와 십자가에 경배하는 십자가 경배, 영성체 예식으로 이어집니다. 이 날은 금육과 금식으로 그리스도의 수난과 죽음에 동참합니다.



 ◇ 성토요일 : 성토요일은 주님이 무덤에 묻히신 것을 생각하며 아울러 주님의 부활을 기다리는 날입니다. 성토요일로써 성주간은 끝이 납니다. 그러나 성토요일 밤이 되면 성대한 부활 성야 예식을 통해 주님께서 죽음에서 생명으로 건너가신 파스카 신비를 경축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