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의 모호성

뭐 인터넷을 하는 분들은 잘 아시겠지만 최근에 차니(channy) 라는 분과 방준영 님이 전문가의 정도를 두고 의견 충돌이 나서(아니, 겉으로 보면 방준영님은 일반적으로 차니님을 비판하시는 기분이 듭니다.) 여러모로 다른 블로거나 유저들이 많이들 난리였습니다.저도 그러한 사건을 바라본 유저중의 한 사람으로써, 이번 사태에 ...

Read More

웹 표준 가이드북 – 실전 CSS 레이아웃

CSS 제대로 사용하기. HTML의미 바로 알기 HTML은 markup language이다. 마크업 : 눈으로 보이는 글자 외에 원고에서 특정 부분의 의미가 무엇인가를 설명하고 그것을 표기하는 것. 일반적으로 작업자들은 HTML을 markup하는 용도보다는 겉으로 어떻게 문서가 보이는 지 만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  HTML과 CSS의 ...

Read More

Muse – Supermassive Black Hole(Haarp Live)

 철없던 대학교 1학년 시절, 헤비메탈과 하드코어에 빠져있던 제게 이 노래는 상당히 충격적이었습니다. 딱히 고음이 있는 것도, 굵직하고 하드한 목소리가 있는 것도 아닌데 특이한 보컬과 특이한 베이스의 매력이 저를 단숨에 사로잡았었지요. 요 근래 지하철에서 출퇴근 하면서 뮤즈의 live공연인 Haarp를 보고 있는데(사실 ...

Read More

자기 브랜드를 위해 나는 무엇을 할 것인가?

 기분좋은 날씨입니다. 매일 에디트 플러스로 ASP관련 작업만 하다가 이번에 대대대~ 기업 사이트의 유지보수를 맡았는데, 오우 무려 asp.net 으로 되어 있습니다.. 유유~ 회사 입사 1달 만에 Visual Studio를 깔아서 작업하는 이맛이란.. 어하튼 저는 윈도우 서버 세팅에는 뭔가 신의 손(?)이 있나 봅니다. ...

Read More

웹 표준 가이드 북 – 구조적 XHTML 사용 방법

잘못 사용하고 있는 태그 무분별한 테이블 사용 <table width=”640″ cellpadding=”0″ cellspacing=”0″ border=”0″>  <tr>      <td height=”25″ valign=”top”> <img src=”title_01.gif”> </td> </tr> <tr> <td> 레이아웃에 table element 를 사용하는 이유는 아마도 쉽기 때문일 것이다. 쉽다는 것 보다는 “익숙해서” 가 더 ...

Read More

실전 웹 표준 가이드 – XHTML 의 소개

XHTML이란? HTML 4.01 규약에 거의 준한다. 일반 HTML에 비해 좀더 명확하고 구조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다. XSL을 함께 사용하면 브라우저에 사용자의 새로운 태그를 표시할 수 있다. XHTML의  장점 호환성 및 확장 가능성 유지 비용의 감소 및 재생산성 확대 가벼운 로딩 속도 ...

Read More

방문자 10만명 돌파

  “먼저 별 내용도 없는 블로그에 벌써 10만이란 카운터를 달게 해준 많은 라이트 유저분들께 감사를 드리며.. “  오늘 회사에 출근하니 팀장님은 개인 사정으로 휴가를 신청하셨고, 가벼운 마음에 잠깐 블로그를 들어갔는데 방문자가 10만명을 넘어섰더군요. 2008년 3월 8일 처음 네이버 블로그에서 설치형 블로그로 ...

Read More

Thead, tbody, tfoot 를 사용하는 이유

 요즘 회사에서 웹 표준에 대해 공부하고 있습니다. 헌데, 제가 유지보수하고 있는 사이트에서 최근에 한가지 일이 떨어졌더군요. 다름아닌 “장애인차별금지 및 권리구제 등에 관한 법률 시행을 위한 웹 접근성 준수 가이드라인 개발 계획(안)” 에 근거하여 사이트를 4월 11일까지 이에 맞게 수정하라는 것이었습니다. ...

Read More

직장인 걷기로 살빼기 계획

  하루에 PC앞에서 5시간 이상을 작업하는 저와 같은 사무직 직장인들에게는 일종의 고질병(?) 같은 게 있습니다. 오래 앉아있다 보니 치질의 위험도 있고, 구부정한 자세로 목/허리 디스크의 위험, 그리고 무엇보다도 잘 움직이지 않게 되어서 배가 나오는 등 내장지방이 쌓여 살이 찌는 경우가 ...

Read More

1인 기업에 대해 아시나요?

 혹시 1인 기업이라고 들어보셨나요? 자기가 하나의 기업이 되어서 활동한다는, 프리랜서보다 한층 더 발전한 개념의 1인 기업. 기존에 프리랜서들이 “계약직“이었다면, 1인 기업은 말 그대로 “기업“이 되어서 최근 정부 차원에서 상당히 적극적으로 추진 중인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1인 창업이 힘든 관련된 규제를 ...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