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실리콘벨리
    • 해외취업 준비
    • 실리콘벨리 생활
    • 스타트업 – 유라임 이야기
    • 카네기멜론 MSSM
    • 실리콘벨리 개발자
  • 미국투자
    • 투자일기
    • 시장 분석
    • 미국 부동산
  • 데이터 & 머신러닝
    • 데이터 시각화
    • Machine Learning
    • 수학
      • 선형대수학
      • 미적분학
      • 확률 및 통계
  • 프로그래밍
    • Front-End
      • AngularJS
      • Node.js & Express.js
      • HTML5
      • ES6/ReactJS/Redux
    • Back-End
      • Flutter/Dart/Firebase
      • Spring Framework
      • Scala & Java
      • Docker/Kubernetes
      • Database
      • CI/CD
      • Cloud Computing
      • Google Cloud Platform
    • Software Engineering
      • leetcode
  • EDM 프로듀싱
    • 좋아하는 EDM
  • 생각과 고찰
    • 메튜장의 이야기
    • 메튜장의 생각과 고찰
Search
2009년 10월 9일

트위터, iGoogle용 가젯 “Twitter Gadget”

요즘 트위터를 즐겨 하고 있다. 정보 전달이 목적이라기 보다는, 내가 관심있어 하는 개개인에 대한 소식을 즉각즉각 들을 수 있어서 더 좋은 것 같다.
아이팟 터치의 Echofon, 맥북의 Seesmic, 미라지폰의 pocketwit 그리고 파이어폭스의 TwitterFox 등 뮈 내가 가지고있는 기기 중에 안되는 기기가 없을 정도로 트위터의 플랫폼은 다양하고, API제공을 통해 또한 다양한 서비스 확장이 가능하다.

이런 트위터의 기능 중에 나는 내가 주로 사용하는 맞춤형 포탈인 iGoogle의 가젯 중 하나인 “Twitter Gadget”에 집중하게 되었다.

iGoogle의 가젯 중 하나인 TwitterGadget


가젯 설치가 워낙에 쉽지만 간단히 설치 방법을 설명하자면..

iGoogle상단 "콘텐츠 추가" 로 들어간다.


가젯 검색에 twitter를 검색한다.


검색 결과중 TwitterGadget을 찾고(가장 상단에 있음) "바로 추가" 클릭!



위와 같이 로그인 된 후 트위터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다.


Twitter Gadget이 편리한 점은, 이모티콘과 그림을 아이콘을 통해 쉽게 삽입할 수 있다는 점이다. 그리고, 무엇보다 iGoogle을 자신만의 포탈로 사용하는 사람에겐 데이터를 손쉽게 취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더불어, 몇분 단위 자동 Refresh기능으로 최신의 content를 확인할 수 있다는 점이다.

사실, 타 Twitter용 plugin이랑 뭐 크게 다른 점이 없긴 하지만 그래도 이렇게 구글 내에 플러그인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참으로 괜찮은 서비스가 아닌가 싶다.

By Matthew

IT에 대해, 정리되지 않은 생각 모음.

Category: 웹 Tags: igoogleigoogle gadgetigoogle twittertwitter gadgettwittergadget아이구글아이구글 twitter아이구글 가젯아이구글 트위터

You might also enjoy

2011년은 티스토리와 함께 블로깅을.

2011년 1월 19일

웹에서 내가 투자해야 할 방향

2011년 1월 9일

티몬, 쿠팡 등 소설 커머스들. 성공 가능성은?

2010년 10월 10일

글 내비게이션

Previous
Previous post: 구글 웨이브, 그 엄청난 공간이 곧 다가온다.
Next
Next post: 한글날 기념 네이버 나눔폰트 2.0 업데이트!
  • Matthew?
  • BLOG
  • MATTHEW LAB
  • MARRIEDCLOIE
  • 메튜장의 브랜드 이야기
© Matthew LAB 2021